HPLC 정량과 라벨 함량 차이 정확도 판단법

Spread the love

세라마이드 함량은 라벨만으론 정확치 않지만, INCI 명칭·성분표 순서·ppm↔% 환산·1% 규정·HPLC 결과를 함께 보면 실제 함량과 효능을 합리적으로 가늠할 수 있다

HPLC 정량과 라벨 함량 차이 정확도 판단법

HPLC 정량과 라벨 함량 차이 정확도 판단법

세라마이드 함량 체크 방법 가이드

세라마이드는 제품마다 표기 방식이 달라 직접 수치 확인이 어렵다. 성분표 순서, 공개된 함량 단위(ppm·%), 분석법(HPLC), 규제 기준을 종합해 판단하는 접근이 정확도와 실용성을 높인다

INCI 성분명·세라마이드 종류 구분

전성분표에서 Ceramide NP·AP·EOP·NS·AS 등 INCI 명칭을 우선 확인한다. 복수 종류가 함께 있으면 장벽 적합성이 올라갈 수 있다. 공통 보조체로 Hydrogenated Lecithin, Cholesterol, Fatty Acid가 동반 표기되면 전달·안정화 설계 가능성을 시사한다. 공식 데이터베이스로 세라마이드 INCI를 확인하려면 성분 명칭 검색 방법을 활용한다

ppm↔% 환산 세라마이드 함량 계산법

브랜드가 ppm을 제시하면 %로 환산해 체감 함량을 비교한다. 환산식은 % = ppm ÷ 10,000이며, 1%는 10,000ppm과 동일하다. g/100g(%)·mg/100g 단위를 통일해 비교하면 구매 판단이 쉬워진다

라벨 순서 규칙·1% 기준 해석

성분은 일반적으로 다함량→소함량 순으로 기재되며, 1% 이하 성분과 향료·색소는 순서 예외가 적용될 수 있다. 세라마이드가 향료·색소 이후에 오면 미량일 가능성이 높다. 다만 제형 특성상 소량도 유효할 수 있어 보조성분 조합과 포뮬러 맥락을 함께 본다

HPLC 분석과 라벨함량 차이

HPLC는 실제 제형에서 세라마이드를 분리·정량하는 실험법으로, 라벨·마케팅 수치와 괴리가 날 수 있다. “세라마이드 X%”가 원료 복합체 비율인지, 순수 세라마이드 분획인지 구분하고, 가능하면 시험성적서나 제3자 분석 근거를 확인한다

공정위·식약처 표시 기준 주의

“고함량·고농축” 같은 표현은 객관 수치가 없으면 판단에 한계가 있다. 함량 수치가 제시될 때는 단위(%, ppm), 기준(원료 대비·완제품 대비), 근거(시험법)를 함께 확인해 과장 가능성을 줄인다. 모호한 표기는 소비자 오인 소지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세라마이드 전구체·보조성분 체크

Phytosphingosine·Sphingosine 같은 전구체, 콜레스테롤·자유지방산·레시틴 등 보조성분 동반 여부가 장벽 적합성과 체감 효능에 영향을 준다. 세라마이드 위치가 뒤쪽이어도 조합·전달체 설계가 우수하면 효율적일 수 있다

ppm ↔ % 환산 정리

표기 단위수치% 환산(공식)예시 함량(mg/100g)
ppm500ppm0.05%50mg
ppm1,000ppm0.10%100mg
ppm5,000ppm0.50%500mg
ppm10,000ppm1.00%1,000mg
ppm20,000ppm2.00%2,000mg
ppm50,000ppm5.00%5,000mg

INCI 표기 위치 해석 정리

성분표 위치추정 함량(대략)해석 팁주의 포인트
상위 1/3비교적 고함량주요 보습·기제 성분 구간원료 복합체일 수 있음
중간 구간중간~저함량보조 보습·안정화 성분 구간제형별 기여도 상이
하위 구간저함량활성 성분 소량 배합 구간효율적 조합 시 유효 가능
향료·색소 이후대체로 1% 이하1% 예외 규칙 고려체감효과는 조합 의존
캡슐·리포좀 표기 인접저~중함량전달체 사용 가능성실제 순수 함량과 구분

라벨함량·원료함량·분석값 차이 정리

표기 유형의미장점한계
라벨 ‘세라마이드 X%’완제품 기준 수치 표기소비자 이해 용이기준·단위 불명확 가능
‘세라마이드 원료 X%’원료 복합체 투입량제조 투명성 일부 확보순수 세라마이드와 다름
‘X,000ppm 표기’미량 단위 강조정밀 수치 제시% 환산 필요, 체감 과대 가능
HPLC 정량값실제 제형 실측객관·재현성 높음비용·자료 접근성 한계
브랜드 공개 시험성적제3자 데이터 제시근거 기반 신뢰 향상범위·조건 제한 존재

댓글 남기기